“당뇨병, 30·40대로 더 젊어졌다”…의료비 부담도 1.4배↑

한화생명이 ‘세계 당뇨병의 날’(14일)을 맞아 최근 5년간 보험금 지급 데이터 36만 건을 분석한 결과, 당뇨병 발병 연령이 빠르게 젊어지고 의료비 부담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60대 중심이던 당뇨, 30·40대 비중 급증
2021년만 해도 당뇨 관련 실손보험금 청구의 67.4%는 50·60대였다. 같은 기간 30·40대는 27.3%에 그쳤다.
그러나 2025년에는 50·60대 비중이 55.5%로 줄어든 반면 30·40대는 35.4%까지 늘었다. 당뇨병이 노년기 질환이라는 기존 인식이 빠르게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성별 차이도 뚜렷했다. 남성의 30·40대 발병 비중은 5년 전 30.6%에서 올해 41.4%로 크게 늘었다.
여성은 같은 기간 23.3%→27.4%로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젊은 남성층의 조기 발병 위험이 더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고혈압보다 합병증 위험 높아…40~50대 청구 급증
한화생명은 당뇨와 고혈압 보험금 지급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당뇨 환자의 합병증 발생률이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40대 당뇨 환자의 암·뇌심혈관질환 보험금 청구 비율은 7.4%, 50대는 10.6%로, 같은 연령대 고혈압 환자(각각 6.3%, 9.1%)보다 높았다.
전체적으로는 고령층에서 청구 건수가 많지만, 당뇨 환자는 40~50대부터 합병증으로 인한 진료비 지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당뇨병 진단 직후부터 혈관 손상과 전신 질환 위험이 본격화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발병 후 의료비 333만원…고혈압 대비 1.4배
당뇨 발병 후 2년 이내 지급된 실손보험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평균 의료비는 약 333만원이었다.
같은 기준으로 고혈압 환자의 의료비는 약 242만원으로, 당뇨 환자가 약 1.4배 더 높은 부담을 지고 있었다.
이는 단순 질환 관리비가 아니라, 진단 이후 새로 발생한 동반 질환과 합병증 치료비가 함께 반영된 금액이다.
한화생명은 “당뇨병이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만성질환으로, 장기적인 경제적 부담도 크다”고 분석했다.
“젊은 당뇨, 조기 관리가 관건”
전경원 한화생명 데이터통합팀 팀장은 “당뇨병은 발병보다 이후 관리에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질환임이 확인됐다”며 “특히 30·40대 발병은 관리 기간이 길고 합병증 위험도 높아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 당뇨병의 날’을 계기로 젊은 세대가 당뇨를 노년 질환이 아닌 현재의 건강 리스크로 인식하길 바란다”며 “보험금 지급 통계를 기반으로 건강 인사이트 자료를 꾸준히 발굴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