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당뇨 수치 얼마?"…보건소서 개인 건강정보 즉시 확인

혼자 사는 70세 A씨는 최근 당뇨병 진단을 받았지만 정확한 수치와 검사 시점을 기억하지 못해 영양상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나의건강기록’ 앱을 설치해 정보 활용에 동의하자, 보건소 영양사가 즉시 A씨의 진료·투약·검사 이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상담이 가능해졌고, A씨는 다가오는 건강검진 일정도 놓치지 않고 확인할 수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23일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과 함께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과 ‘나의건강기록’ 앱을 연계한 서비스가 24일부터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로써 민간 병·의원에서 이뤄진 진료, 투약, 검사, 건강검진 정보를 보건소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나의건강기록’은 개인의 진료·투약 이력, 예방접종, 검사 결과 등을 본인 동의하에 조회하고 필요한 기관에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든 국가 의료정보 중계 플랫폼이다.
그동안 보건소 진료나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때는 이용자가 기억하는 정보에 의존하거나, 별도의 종이진단서를 제출해야 했다. 관련 자료가 없으면 재검사를 진행해야 해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불편도 있었다.
새로운 연계체계에서는 이용자가 앱에서 보건소에 제공할 건강정보(진료·진단·투약·검사 등)를 선택해 전송하면, 보건소 직원은 해당 정보를 즉시 열람할 수 있다.
이때 열람한 정보는 보건소 시스템에 저장되지 않으며, 조회 후 30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돼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최소화했다.
복지부는 이번 개편을 통해 보건소 이용자의 진료 정확성과 상담의 신속성이 높아지고, 불필요한 재검사·재처방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곽순헌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고령층 등 보건소 이용이 많은 국민의 편익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이용률과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서비스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