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필수의약품 공공생산·바이오헬스 지원 추진
의료제품 안정 공급·혁신 성장·안전 먹거리 3대 과제 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료현장에서 필수 의약품과 의료기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공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의 혁신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식약처는 새 정부 국정과제 확정에 따라 ▲수요자 중심의 의료제품 안정 공급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지원 ▲안전한 먹거리·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등을 역점 과제로 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필수의약품 안정 공급
정부는 필수의약품 자급화를 위한 제약사 지원을 강화하고, 공급이 불안정한 의료제품에 대해서도 지원을 확대한다.
희귀·난치질환자 치료 기회를 넓히기 위해 정부 직접공급(긴급도입) 근거를 마련하고, 희소·긴급 의료기기의 안정공급 제도도 보완할 예정이다.
또한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을 막기 위해 투약 이력 확인 성분을 확대하고, 의료인 셀프 처방 금지약물을 추가 지정한다. 더불어 사회재활 인프라 확충과 맞춤형 교육을 통해 마약 거절 문화 조성에도 나선다.
바이오헬스 혁신 지원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 ‘허가·심사 혁신방안’을 확대 적용한다. AI 기반 허가·심사 시스템 도입, 전담팀 운영, 전문 심사인력 확충 등이 주요 내용이다.
또한 위탁개발생산(CDMO) 지원 제도화, 화장품 안전성 평가제 도입, 동물대체 첨단시험법 개발 등도 추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안전한 먹거리·식생활 환경
AI를 활용한 식중독 원인균 추정 시스템과 수입식품 위험 예측체계를 구축해 식품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통합급식관리지원센터를 모든 지자체로 확대하고, 음식점 위생등급제 적용 범위를 집단급식소까지 넓힌다.
국민 알권리 보장을 위해 GMO 완전표시제 도입과 식품 영양성분 정보 확대, 담배 유해성분 공개도 추진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과학 기반의 현장 소통과 혁신을 통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식의약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