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 음식이 부른 위암, 조기 검진이 살린다
한국 위암 발병률 서구보다 높아…복강 내 항암치료 등 신치료법 주목

우리나라 위암 생존율이 크게 향상됐지만, 복막 전이가 발생한 경우 예후는 여전히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조기 검진과 맞춤형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생존율은 상승했지만 여전히 4기 위암 존재
중앙암등록본부에 따르면 2018~2022년 위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78.4%로, 2001~2005년 대비 20.4%포인트 높아졌다. 국가암검진 확대와 치료법 발전의 결과다.
그러나 전체 환자의 약 10%는 진단 당시 이미 4기 위암으로, 수술적 완치가 어렵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려운 만큼 정기 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인 발병률 높은 까닭
위암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짠 음식 섭취, 탄 음식의 발암물질, 흡연·음주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한국은 하루 평균 소금 섭취량이 WHO 권장량의 2배 이상으로, 서구보다 발병률이 높은 이유로 꼽힌다. 남성이 여성보다 2배 가량 발병률이 높으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은 2배 이상 증가한다.
치료법 다양화…복강 내 항암치료 주목
위암은 병기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1기 위암은 내시경 절제술로 완치가 가능하며, 대부분의 환자는 위 절제와 림프절 절제가 표준 치료다. 최근에는 복강경·로봇 수술이 확대돼 회복 기간 단축과 합병증 감소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복막 전이는 위암 4기 환자의 약 40%에서 발생하며 예후가 불량하다.

서원준 고대구로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복막 전이 위암은 기존 전신 항암제만으로는 효과가 제한적이고, 장폐색·악성 복수 등 합병증으로 환자의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며 “복강 내 항암요법을 전신 항암제와 병행한 임상연구에서 무진행 생존율이 크게 개선돼 향후 중요한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여러 기관에서 대규모 임상이 진행 중이다.
예방과 조기 검진 중요
전문가들은 위암 조기 발견을 위해 정기 내시경 검진을 강조한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40세 이전이라도 검진을 받아야 하며, 젊은 층 역시 소화불량·복통 같은 증상을 가볍게 넘기지 말아야 한다.
서 교수는 “단순한 복통이나 소화불량도 간과하지 말고 내시경으로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초기에 발견하면 완치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