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손상사망률 30% 낮춘다 “통합 관리체계 가동”

정부가 현재 인구 10만 명당 54.4명인 손상 사망률을 2030년까지 38명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질병관리청은 24일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2026~2030)’을 확정·발표하며 예방부터 대응, 회복까지 전 주기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손상’은 교통사고·낙상·중독 등 외부 요인으로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피해와 그 후유증을 의미한다. 손상은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4위이며,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21조 원으로 전체 질병 비용의 14%를 차지한다.
이번 계획은 14개 관계부처와 학계·전문가 논의를 거쳐 마련됐다. ‘손상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조사·연구 활성화 ▲위험요인 관리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 ▲대응·회복 지원 ▲관리 기반 조성 등 5대 전략, 16개 과제를 제시했다.
정보·연구: 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해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통계 품질을 높이기 위한 조사·연구를 지원한다. 위험요인 관리: 자살·폭력·약물 중독 같은 의도적 손상과 교통사고·낙상 등 비의도적 손상을 집중 관리하며, 개인형 이동수단(PM) 안전대책도 포함한다. 맞춤형 예방: 아동·청소년 안전사고, 노인 낙상, 산업재해 등 생애주기별 손상 예방 사업을 확대한다. 대응·회복 지원: 현장 응급처치 역량과 이송체계를 강화하고, 재활병원 확충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기반 조성: 중앙·지역 손상관리센터를 운영하고, 전문인력 양성과 국제협력을 추진한다. |
임승관 질병청장은 “손상은 우연이 아니라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건강 문제”라며 “범부처 협업을 통해 발생 전 단계부터 회복까지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