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층의 급성 허리디스크, 한의치료도 한 방법
젊은층의 허리디스크,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 많아
단계별 비수술 치료와 평소의 바른 자세로 개선할 수 있어

허리의 통증을 호소하며 진료실의 문을 여는 환자들이, 예전에 비해서 연령층이 낮아졌다. 과거, 허리 디스크는 중장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었다. 생활 습관과 나이에 따른 퇴행이 맞물려서 중장년층에서 잘 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의 허리디스크 환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척추질환 환자 분석에 따르면, 전체 척추질환 신규 환자 118만 명 중 20~30대가 약 40%인 47만 명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층의 허리 디스크는 생활습관과 밀접
아무리 젊다 하더라도 오랜 시간 책상에 앉아서 일을 하거나, 종일 서 있는 직업을 가졌거나, 허리를 자주 사용해 일을 하거나, 무리해서 운동을 했다면 허리 디스크로부터 안심할 수 없다.
올바르지 않은 자세나 외상, 과도한 체중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손상된 디스크가 척추에서 튀어나오거나 신경근이 눌리는 것이 허리 디스크이다.
보통, 디스크 안의 수핵이 섬유륜을 뚫고 밀려나오는 것을, '디스크가 터졌다'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나, 이 '터졌다'라는 말 때문에 허리에 한순간의 큰 충격을 받거나 무리한 행동을 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디스크가 터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어느날 갑자기 터지는 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허리에 스트레스가 쌓여 수핵이 밀려나와 결정적인 순간에 참을 수 없을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젊은 층의 허리디스크는 잘못된 생활습관이 그동안 허리에 누적되어 발현된 것이다.
젊은 층의 환자들이 갑자기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프고, 다리가 수시로 저린 증상으로 불편함을 겪으면, 병원에 얼른 내원하기보다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더 크다. 그러다 병원에서 허리디스크 진단을 받으면, 아직 나이도 젊은데 허리 디스크가 생겼다는 것에서 놀라고,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할지 몰라서 답답해 한다.
늘어난 젊은 층의 허리디스크, 올바로 아는 것이 치료의 시작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자연스럽게 좋아지는 경우도 많고, 통증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빠르게 통증이 시작되어 점점 심해지고 지속되는 것을 급성 허리 디스크라고 한다.
급성 허리디스크는 유전적인 소인이나 습관, 외상 등의 영향으로 인해 어린 나이에 섬유륜이 약해져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젊은 층에서는 외상, 사고 등으로 인해 갑자기 디스크가 파열되는 경우도 있다.
젊다고 해서 허리디스크가 오지 않는것은 아니다. 허리디스크는 직립보행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다. 허리 디스크의 원인이 되는 '추간판 탈출증'은 퇴행성 변화에 의해 추간판의 섬유륜이 약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잘 생길 수 있을 뿐이지 젊다고 생기지 않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젊은 층에서는 잘못된 자세로 인해 허리에 스트레스가 지속되어 디스크가 생기고, 고령층에서는 노화로 인해 디스크가 점점 탄력을 잃으면서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 디스크가 많다.
누워서 다리를 60도 이상 들지 못하면 허리디스크 의심
허리디스크의 초기 단계를 추간판 팽윤 상태라고 한다.
디스크 안에 들어있는 수핵이 부풀어 올라, 추간판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조직인 섬유륜이 정상 범위에서 3mm 정도 밀려있는 상태가 허리디스크 초기 증상이다. 이때는 오래 앉아 있으면 허리에 통증이 생기거나,평소 생활하다 허리가 뻐근한 느낌이 자주 든다.
이 단계에서는 단순 근육통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또, 허리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하지 않을 경우, 자연적으로 치료가 되기도 한다.
디스크가 있는지 알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하지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ing Test-SLR Test)가 있다. 무릎을 펴고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 올려 하지 방사통이 발생하는지 알아보는 방법이다.

허리 디스크가 없다면 다리를 70도 이상 들어 올릴 수 있지만, 허리디스크 환자들의 경우에 통증 때문에 다리를 60도 이상 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평소 유연성 운동이 부족한 경우에 다리를 펴서 들어 올리면 무릎 뒤쪽이 당기는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기 때문에 한 가지 방법으로만 허리 디스크를 진단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하지직거상 검사로 허리 디스크가 의심되면, 병원에 내원해서 정확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젊은 층의 허리디스크, 단계별 한의 치료는?
허리는 물론 방사통으로 인해 다리까지 아프고 저려 허리디스크가 생기면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겁을 먹고 병원에 빨리 안가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허리디스크는 관리를 잘 하면 낫는 병이기 때문에 지레 겁을 먹고 병원에 가는 것을 늦춰서는 안된다.
허리디스크의 비수술 치료로 한방치료가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허리디스크 한방치료는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로 허리의 통증을 완화하고, 전신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허리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로 인해 생긴 신체의 다른 질환까지도 함께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허리디스크 초기 단계
허리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하지 않고 규칙적인 운동만 해도 자연적으로 치료가 되는 경우가 많다.
조금 더 빠른 치유를 원한다면 침 치료와 함께 근육과 인대를 튼튼하게 하는 한약을 복용하면 디스크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 허리디스크 진행 단계
이 단계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병원을 찾는다.
진행 단계에서의 적절한 한의치료로는 약침, 한약, 추나요법 등이 많이 쓰인다. 약침과 한약은 척추 주변에 발생한 염증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손으로 밀고 당기며 비뚤어진 척추와 근육을 바로잡는 치료이다. 균형이 틀어진 척추를 바로잡고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디스크가 받고 있는 압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추나치료는 치료 과정에서 디스크로 인한 다른 질환까지도 발견, 치료할 수 있다.
▶ 허리디스크 말기 단계
수핵이 추간판에서 떨어져 나오는 심각한 상태이다. 그러나 한방으로 비수술 치료를 할 수 있다.
이때는 추나요법, 한약요법, 약침 등의 한방 통합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이 단계에서는 통증이 어느 정도 호전됐다고 해서 치료를 중단해서는 안된다. 손상된 주변 조직들이 회복될 수 있게 하는 치료가 중요하다.
한약치료는 손상된 뼈와 신경을 강화하여 척추 주변 구조물들이 더 이상 손상되지 않게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허리 디스크라고 하면 질환의 심각성 때문에 걱정을 하는 하는 사람이 많다. 더욱이 젊은 층의 급성 허리 디스크는 더욱 그러하다. 없던 통증이 갑자기 생겨서 없어지질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허리디스크 치료에 있어서 수술은 최후의 수단이다. 그보다 앞서 충분한 휴식 후 근육과 인대를 튼튼하게 하고 뼈와 신경을 강화하는 한약을 꾸준히 복용하고, 그 외 허리 디스크에 적절한 한의치료를 받아서 척추의 자생력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진행이 많이 된 급성의 허리 디스크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므로 허리에 이상이 생겼으면 미루지 말고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