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에 365번 병원 간 환자” 5년간 1.2만명
서명옥 의원 “닥터쇼핑 방지 위해 대국민 홍보·예산 확대 필요”

한 해 365번 이상 병원을 찾은 환자가 최근 5년간 1만2천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건강염려증(질병불안장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도 1만8천명에 달해, 불필요한 의료 남용을 줄이기 위한 대국민 홍보와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실이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외래 진료 365회 초과자는 2,288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70대 32.6%(774명)로 가장 많았으며, 60대(22.9%), 80대 이상(19.1%) 순이었다. 그러나 30대(65명), 20대(27명) 등 젊은층에서도 일부 과다 이용자가 확인됐다.
요양기관별로는 의원급 의료기관 이용자가 98.3%(2,249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종합병원(61.4%), 상급종합병원(39.9%)도 중복 방문한 것으로 조사됐다.
5년간 1만2천명 초과…본인부담 강화에도 효과 미미
건보공단은 지난해 7월부터 연간 외래 365회 초과자에게 진료비의 90%를 본인 부담하도록 하는 ‘본인부담차등제’를 시행하고, ‘현명한 의료 선택’ 캠페인을 벌였지만, 초과 이용자 수는 큰 폭으로 줄지 않았다.
최근 5년간 추이는 ▲2020년 2,535명 ▲2021년 2,564명 ▲2022년 2,497명 ▲2023년 2,463명 ▲2024년 2,288명으로 총 1만2,347명에 달했다.
다만 제도가 본격 시행된 2024년 하반기 이후에는 통계상 감소세가 확인될 가능성도 있다.
서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건강염려증’ 환자는 2,47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이후 꾸준히 3천 명 안팎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2020~2024년) 누적 환자 수는 1만8,000여 명, 총 진료비는 약 56억7천만 원에 이른다.
건강염려증은 신체 이상이 없음에도 ‘병에 걸렸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잦은 병원 방문과 재검사를 요구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검사와 진료가 반복되며 ‘닥터쇼핑’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서명옥 의원은 “건보공단이 34개 전문의학회와 협업해 ‘현명한 의료 선택 리스트’를 개발했지만, 실제 적용된 의료기관은 단 두 곳에 불과하다”며 “대국민 홍보도 지하철 광고 1회성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건강염려증 현황을 고려해 과다 의료 이용 예방 예산을 늘리고, 합리적인 의료 이용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