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발달장애인 돌봄 확대 “가족 회복까지 돕는다”

  • 강주은 기자
  • 발행 2025-10-30 11:35

▲정부가 발달장애인의 돌봄 공백 해소와 가족 지원 강화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한다. [사진=셔터스톡]

정부가 발달장애인의 돌봄 공백을 줄이고, 일상과 가족생활을 촘촘히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한다.

보건복지부는 30일 “발달장애인이 가족, 친구와 함께 어울리며 살아갈 수 있도록 국가 책임 돌봄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주간·방과후 활동, 긴급돌봄, 통합돌봄, 가족지원 등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돌봄 공백 메우는 주간·긴급 서비스

복지부는 발달장애인이 의미 있는 낮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주간·방과후 활동 서비스를 2025년 1만5천 명에서 2030년 3만 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주간활동 제공기관 775개소, 방과후활동 제공기관 511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또 보호자에게 긴급한 일이 생길 경우 최대 7일간 24시간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국 17개 시·도별로 남·여 각 1개소씩 긴급돌봄센터를 운영해 돌봄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최중증·가족 지원 강화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위해서는 최대 24시간 맞춤형 1:1 통합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간 개별·그룹 돌봄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며, 생활 특성과 돌봄 필요 수준에 맞춘 맞춤형 지원이 이뤄진다.


또 발달장애인 가족의 부담 완화를 위해 부모상담, 전문심리상담, 가족 힐링캠프 등 회복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건강·자립 위한 기반 확충

복지부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공공후견인 의사결정 지원 및 재산관리 서비스, 장애인 주치의·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등 의료 인프라 확충도 병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발달장애인 돌봄의 국가 책임을 강화해 지역사회 안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관련 정보는 발달장애인지원 대표홈페이지 또는 보건복지부 상담콜센터(☎129), 발달장애인지원센터(☎1800-5921)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